본문 바로가기
공돌이의 지식백과/AI, 로봇, 그리고 IT

K-로봇 경제 2024 (1) - 정책 추진 배경

by 트렌디한 공돌이 2024. 4. 2.

(K-로봇경제,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16일, 로봇 산업 정책위원회를 통해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본 계획은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로봇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산업부가 5년마다 수립하고 시행하는 계획입니다.

목차

    *본 컨텐츠는 웹 상의 공개된 자료를 분석 및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모든 정보 및 사진의 출처는 컨텐츠 하단의 '출처'에 기재 되어있습니다.

     

    *해당 시리즈는 지난 24년 1월 발표된 '제 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24~2028)'의 내용을 요약하고, 보다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요약과 나의 주관적인 생각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이 지난 1월에 발표되었습니다. 그간 한국의 로봇 산업이 미국, 일본, 그리고 중국에 많이 뒤쳐져 있었는데 이를 계기로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발돋음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어김없이 로봇 앞에 'K'가 붙어 있는게 재미있습니다.

     

     

    1) K-로봇 경제의 추진 배경 


     지난해 12월 발표된 첨단 로봇 산업 비전 및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는 16일, 로봇 산업 정책위원회를 통해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을 확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기본 계획은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로봇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산업부가 5년마다 수립하고 시행하는 계획입니다. 새롭게 발표된 계획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의 계획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로봇 기술은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변화시키고 있는 혁신의 주역이기 때문입니다. K-로봇경제의 배경에는 첨단 로봇 기술이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인식이 깔려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향상과 경제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인구 구조 변화와 같은 사회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시리즈에서는 공개된 '제 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24~2028)'을 상세히 살펴보고, 이에 대해 심도있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그림은 K-로봇 경제의 비전을 한눈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K-로봇 경제 비전(출처: 제4차 지능형 로봇 계획)


    2) 목차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Robot Economy 추진 배경

    2) 로봇 산업 분석과 진단

    3) 추진 방향

    4) 주요 정책 과제

    4-1) 로봇 3대 핵심 경쟁력 강화

    4-2) K-Robot 시장 전면 확산

    4-3) 첨단로봇 친화적 환경 조성

    4-4) 범부처/민간 총력 지원체계 가동

     

     


    3) 로봇 산업의 성장과 경쟁 


    보고서에 의하면, 로봇 산업은 다음과 같이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그림은 세계 제조 로봇 시장을 전망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출처: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공고

     

    로봇 산업의 성장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직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국가들이 이 분야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첨단 제조 파트너십과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협동로봇 중심의 로봇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유럽도 SPARC 프로그램을 통해 민관합동으로 로봇 연구와 개발에 상당한 자금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K-로봇경제의 배경이 되는 글로벌 로봇 시장의 경쟁 구도를 잘 보여줍니다. 특히, 일본과 미국의 경쟁이 눈여겨볼만 합니다.

     

    세계 로봇 산업이 확장되는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이 각각 서비스 로봇과 산업용 로봇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네요. 2020년을 기준으로, Fanuc, Yaskawa, Kawasaki 등 일본의 업체들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대략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Fanuc이 16%의 시장 점유율로 선두에 서 있어요. 이것은 일본이 미국의 첨단 제조 파트너십 프로젝트 및 유럽의 SPARC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협력 로봇 기술 개발에 있어 강력한 경쟁자임을 드러냅니다.

     

    한편,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는 미국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어요. 특히 아마존이 전 세계적으로 로봇을 물류 현장에 투입하면서 이 분야를 이끌고 있는데, 2012년에 물류로봇 회사 '키바 시스템즈'를 인수한 뒤로 약 5만 대의 로봇을 자사 창고에 배치한 사례가 이를 잘 보여주죠. 청소 로봇과 수술 로봇 시장에서는 아이로봇과 인튜이티브 서지컬이 강력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로봇의 부품과 관리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일본과 미국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기업들이 모터, 감속기, 제어기 등 로봇의 핵심 부품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어, 나브테스코, 하모닉드라이브시스템즈, 일본 전산심포 같은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 정밀 감속기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답니다. 그에 반해, 로봇 운영체제(OS) 분야는 미국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으며, Willow Garage의 'ROS', 아마존의 Robo Maker와 같은 플랫폼이 그 예시에요. 이는 미국과 유럽이 추구하는 로봇 기술 개발의 현재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4) K-로봇 경제의 도약을 위한 의지 


    ]한국의 K-로봇경제 추진 배경에는 국내 로봇 산업의 현재 위치와 미래 방향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제조업에서의 세계 1위 로봇 밀도와 더불어, 로봇 기술과 관련 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현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는 첨단 로봇 기술의 국산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발간한 '글로벌 로봇산업 지형 변화 및 국내 정책 대응 방향' 보고서는 한국의 K-로봇경제 추진 배경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는 한국 제조업의 로봇 밀도가 세계 1위임에도 불구하고, 로봇 기술과 관련 부품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아 국내외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한국의 로봇 산업이 국가 경제 성장동력의 한 축을 상실할 위험성을 시사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글로벌 로봇산업 지형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완제품 제조역량 강화는 물론 부품, 소프트웨어(SW)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을 하였습니다. 산업연구원(KIET)의 데이터에 따르면, 제조용 로봇의 구조부·제어부 부품 국산화율은 50% 안팎에 불과하며, 부품별 국산화율은 모터 38.8%, 감속기 35.8%, 센서 42.5%, 제어기 47.9%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에 따라, 특정 부품 공급망이 막히면 사실상 국내 기업들의 로봇 제조 자체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K-로봇경제는 더욱 강력한 미래 전략력을 필요로 합니다. 예를 들어, 고정밀 감속기와 서보모터는 현재 일본 기업이 글로벌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한국의 로봇 산업이 세계 1위로 도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한국은 기술 개발과 연구에 투자를 확대하고, 부품과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의 K-로봇경제는 국내 로봇 산업의 세계 1위 도약을 향한 미래 전략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마치며


     결국, K-로봇경제의 추진 배경은 기술적 진보와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두 축에서 균형을 이루려는 전략적 노력입니다. 로봇 기술이 가져오는 생산성 향상과 경제적 가치는 물론,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적 도전에 대응하고, 안전한 근로 환경 조성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K-로봇경제의 성공적인 실현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