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종목 & 암호화폐

그래프(GRT) - 179만 코인 유튜버 추천 코인 알아보기 (3)

by 트렌디한 공돌이 2024. 4. 19.

 179만 코인 유튜버 'Brian Jung'이 추천한 GRT 코인은 Graph라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쉽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Ethereum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블록체인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목차

     
     
     

    * 해당 글은 투자(전략, 개별 종목, 매수 및 매도 등)에 대한 글쓴이의 개인적인 견해를 담은 글입니다.
    * 따라서 이는 절대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해당 글은 법적 책임의 근거가 될 수 없음을 밝히는 바입니다.

     
     

    그래프(GRT) 코인 요약 


     

    • 개요: 'Graph' 프로토콜의 암호화폐, 데이터를 쿼리하는 인덱싱 프로토콜
    • 활용 용도: DeFi, 웹3(Web3) 생태계
    • 개방성: 누구나 '서브 그래프(Subgraph)'라고 불리는 오픈 API를 빌딩하고 게시할 수 있음.
    • 투자 현황: Coinbase ventures, Digital Currency Group, Framework Ventures 등이 750만 달러 투자
    • 시가 총액: 3.47T 원
    • 상장 거래소: Binance, coinbase, Bybit, 업비트, OKX

    179만 코인 유튜버의 추천 코인 (3) - 그래프(GRT)  


     

    저번 글에 이어 179만 코인 유튜버 'Brian Jung'의 세번째 추천코인을 설명하겠습니다!
     
    RNDR, ARKM에 이은 세번째 추천은 바로 '그래프(GRT'입니다.
     
    현재 가격은 0.24$(coinmarketcap 기준, 24.04.16 기준)로, 아직 본격적인 상승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24년 4월 16일 기준 GRT의 가격은 0.24$이다.
    GRT의 가격

     

    또한 아래와 같이 업비트, 바이낸스 등 여러분에게 친숙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기에 쉽게 거래가 가능합니다!
     

    GRT 상장 거래소 목록이다.
    GRT 상장 거래소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GR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GRT(Graph)는 무엇인가?  


     

     블록체인 기술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점점 더 깊게 들어와 있고, 그 중심에는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받는 것이 바로 "GRT(graph)" 코인인데요.
     
     GRT 코인은 Graph라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쉽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Ethereum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찾아내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블록체인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Graph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인덱싱하고, GraphQL을 통해 쿼리할 수 있게 하는 인덱싱 프로토콜입니다. 이 기능 덕분에 개발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GraphQL 쿼리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볼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가 필요한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게 해줍니다. Graph는 중앙 집중식 서버 없이, 여러 노드가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분산형 네트워크입니다.
     

     
     이는 분산 원장 기술(DLT)에 기반을 둔 오픈 소스 프로토콜로, 제 3자의 개입 없이 블록체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디자인되었습니다. Graph 메인넷의 출시로, 완전한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의 길이 열렸습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를 만들어, 어떤 상황에서도 분산형 앱이 작동할 수 있게 하며, 블록체인 데이터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공개적이고 개방적인 API인 서브그래프를 통해 수천 개의 분산형 앱이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GRT는 Graph 네트워크의 기본 암호화폐로, Graph 생태계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자원을 할당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인덱서, 큐레이터, 위임자 등이 GRT 토큰을 이용하여 마켓플레이스에 참여하게 합니다.
     
    GRT 코인은 공개 판매와 사모 판매를 모두 진행하였으며, 공개 토큰 판매를 통해 1200만 달러를 모금하였습니다. 또한, Coinbase Ventures, Digital Currency Group, Framework Ventures 등으로부터 500만 달러를 추가로 모금하였고, Multicoin Capital은 250만 달러를 투자하였습니다. 요약하면, GRT 코인은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중요한 인덱싱 프로토콜인 Graph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분산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렇게 보니, GRT 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를 엿보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GRT는 왜 가치 있는가?


     

      Graph의 독특함은 어디서 비롯될까요? 바로 그 목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Graph는 사용자들에게 쉽게 접근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참가자들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이들 참가자들, 즉 인덱서들은 노드 운영자의 역할을 하여, Ethereum과 같은 네트워크 형태의 다양한 블록체인 소스에서 인덱싱 및 쿼리 데이터를 위한 독특한 시장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Graph는 인덱싱 문제와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dApps 생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첫 번째 분산형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이제 Graph의 가치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Graph는 GRT 토큰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으로 기술적 가치와 시장 가치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Graph의 가치와 GRT의 가격을 결정하는 많은 특정 요인들이 있습니다.
     
     총 공급량, 유통 공급량, 프로젝트 로드맵, 기술적 특징, 주류 사용, 규제, 채택,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그리고 다른 중요한 이벤트들이 Graph의 시장 가치를 정의합니다. Graph의 본질적 가치는 프로젝트가 사용자와 더 넓은 경제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경우, 다른 네트워크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큐레이션, 인덱싱, 및 조직화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 그것입니다. Graph의 가치는 2020년에 메인넷을 출시하면서 더욱 증가했는데, 이는 프로젝트가 dApps의 완전한 분산화를 향해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결국, Graph(GRT)는 그 독특한 목적과 기능, 그리고 블록체인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의미있는 가치를 가진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또한 Graph가 Web 3의 게이트웨이로서 dApps의 완전한 분산화를 추구하는 최종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있습니다. 

    GRT 로드맵입니다.
    GRT 로드맵

     

    마무리


     

    오늘은 Brian Jung의 3번째 추천 코인인 GRT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바라며, GRT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GRT 백서)에 들어가 내용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The Graph

    The Graph is an indexing protocol for organizing blockchain data and making it easily accessible with GraphQL.

    thegraph.com

     

     
     

    출처